DragonSwap
한국어
한국어
  • 소개
    • 개요
    • 특징
  • 서비스
    • 스왑
    • 유동성 풀(Pools)
      • V2
      • V3
    • 수수료
    • 대시보드
  • 미션
    • 핵심 철학: KAIA 생태계 기여
    • 팀
    • 로드맵
    • 파트너쉽
  • 보안
    • Smart Contracts
    • Audit
  • 커뮤니티
    • Website
    • Medium
    • X (Twitter)
    • Github
    • Telegram Announcement
    • Contact Us
Powered by GitBook
On this page
  • 유동성 풀 예치와 LP토큰
  • 수수료 수익
  • 비영구적 손실(Impermanet Loss)의 이해
  1. 서비스
  2. 유동성 풀(Pools)

V2

Previous유동성 풀(Pools)NextV3

Last updated 1 month ago

드래곤스왑 V2 유동성 풀은 Uniswap V2를 기반으로 구축되어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유동성을 제공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합니다.

유동성 풀 예치와 LP토큰

예를 들어 KAIA - USDT 유동성 풀에 자산을 예치하면 LP(Liquidity Provider) 토큰을 수령하게 됩니다. LP 토큰은 예치한 유동성 풀에서의 지분을 의미합니다. 유동성 인출 시 LP토큰을 반환하고 예치했던 자산과 수수료 수익을 돌려 받습니다.

수수료 수익

스왑 시 V2 페어가 활용되면 0.3%의 거래 수수료가 거래자에게 부과되고 이 중 “0.24%”는 유동성 제공자(Liquidity Provider)에게 수익으로 돌아갑니다. 이를 통해 유동성 공급자는 플랫폼 거래 활동에서 발생하는 수수료 수익을 공유받을 수 있습니다.

비영구적 손실(Impermanet Loss)의 이해

유동성을 제공하는 것은 수익성이 있을 수 있지만, 비영구적 손실에 대한 노출과 같은 위험을 인지해야 합니다. 이 현상은 예치한 자산의 가격 비율이 예치 당시와 비교하여 변할 때 발생합니다. 유동성 공급 전 비영구적 손실에 대한 이해와 고려가 필요합니다.

(바이낸스 아카데미)

비영구적 손실 더 알아보기